누룩을 생산할 때 자연 번식과 접종의 경계는 과연 명확한가?
이 글과 관련된 식품첨가물공전에서 정하는 '국': https://dspman.tistory.com/228
예전부터 누룩을 디디는 공정에서 미생물의 자연 번식과 접종은 과연 경계가 명확한가에 대해 의문을 가진 적이 있었다.
일년 내내 누룩을 생산하는 곡자회사 A와 B가 있다 가정해보자.
그들 회사의 각 발효실 내부엔 그들이 생산하는 누룩의 근간이 되는 미생물들이 바글바글하다고 가정할 수 있을테다.
A라는 곡자회사는 신제품을 개발할 때도 회사 창립 이래 단 한번도 인위적으로 제품 형태로 생산된 효모나 종균을 접종하여 사용한 적이 없고, 100% 자연에서 얻은 초재와 공기중에 떠다니는 미생물만으로 누룩을 개발했다 가정해보자.
반면에, B라는 곡자회사는 신제품을 개발할 때 항상 제품 형태로 생산된 효모나 종균을 사용해서 개발한 뒤에 그 신제품이 안정적으로 생산되는 시점에 더 이상 접종을 하지 않은 채 그 동안 누룩을 발효시켰던 발효실에서 누룩을 띄우면 이미 그 발효실에는 한동안 접종해서 번식시켰던 효모나 종균들이 바글바글할테니 그 때 부터는 자연적으로 그 미생물들이 누룩에 착상하여 번식하면 이 때 부터는 접종하지 않은 채 누룩을 생산할 수 있는 셈이 된다고 가정해보자.
식품첨가물공전은 '국'을 정의할 때 인위적인 접종 없이 자연적으로 효소가 포함되도록 생산한 '국'만 '누룩(곡자)'라 정하고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이 바로 "자연적으로"다.
"자연적으로"가 아니라 접종을 하면, 그건 '누룩(곡자)'가 아니다. (이는 내가 직접 담당관청에 전화해서 문의해보기도 한 내용이다.)
A가 생산한 누룩은 두말할 나위 없이 '누룩(곡자)'이 맞다.
하지만, B가 생산한 누룩도 '누룩(곡자)'이라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