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선조들이 글로 남긴 고문헌으로 전래되는 많은 주방문들이 있다.조선왕조실록을 필두로 우리 민족이 기록을 중요하게 여기는 민족이다보니 그 덕을 톡톡히 보는 것 같다.고문헌 주방문에는 석탄주, 청명주, 부의주 등을 비롯한 여러 술이 여러 문헌을 통해 전래되었다.그 술들은 재료의 양을 정하는 주방문과 술을 빚는 공정을 간략하게 몇 마디 문장으로 전달하고 있다.그런 고문헌의 주방문들을 연구한 연구자들이 공개해주신 덕분에 주방문을 어렵지 않게 참고할 수 있다.그 중에서도 김재형님은 고문헌 주방문을 아래 URL을 통해 공개해주셨다.http://koreansool.kr 한국술 고문헌 DB한국술 문헌 원문과 해석 검색 서비스www.koreansool.kr 또한, 김재형님의 블로그에서는 전통주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
출처: https://hgkang1982.tistory.com/429 이종봉 지음, [한국 도량형사] 발췌①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도량형 (1) 머리말 - 도량형度量衡의 도는 길이, 양은 물건의 부피, 형은 물건의 무게 등을 측정하는 도구 혹은 수단을 의미하므로 물건의 가치와 교환이 이루hgkang1982.tistory.com ①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도량형(1) 머리말- 도량형度量衡의 도는 길이, 양은 물건의 부피, 형은 물건의 무게 등을 측정하는 도구 혹은 수단을 의미하므로 물건의 가치와 교환이 이루어졌을 어느 시기부터 사용되었다. (11쪽)- 고구려는 연구자의 관점에 각각 한척(22~23cm)과 고구려척(35.051cm)을 사용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12쪽)- 통일신라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