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MU4v/btsL1hu3nY3/tVVm7k8OBqoV90wlZykwF0/img.gif)
개요목표 쌀:물:누룩=100:90:1 무게 비율의 단양주 실험이다.주방문 [1/11.토] 술덧(고두밥) = 찹쌀(6kg) + 물(5.4L) + 누룩(600kg) + 밀가루(180g)쌀:물:누룩:밀가루 = 6:5.4:0.6:0.18kg = 100:90:10:3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4년 12월 22일 주문, 1주 이내 도정), 발코니에서 보관누룩: 송학곡자(우리밀)와 진주곡자(앉은키밀) 각1kg 씩 섞어 30번 술 빚은 날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하여 사용. (6/25 구매)물: 스파클 생수(1.8L) + 삼다수 생수(3.6L)밀가루: 밀꽃이야기 앉은키밀구매처: https://smartstore.naver.com/ourmeal-farm/products/9679914660술독: 15L 페트병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BFBC/btsL1Fpcl7y/E1CgWOChvym602J1jaOt31/img.gif)
개요 목표 멥쌀, 찹쌀 반반으로 단양주를 빚어본다.주발효 시 보쌈을 하며, 냉각 후 실온에서 후발효한다.후발효가 종료되면 바로 거른다.주방문 [01/01.수] 술(고두밥) = 멥쌀(3.468kg) + 찹쌀(3.468kg) + 물(6.242L) + 누룩(867g) + 밀가루(260g) + 송순(14g)쌀:물:누룩:밀가루:송순 = 6.936:6.242:0.867:0.26:0.014kg = 100:90:12.5:3.8:0.2급수비율 90%, 쌀 대비 누룩 12.5%재료 설명찹쌀: 백옥찰(노은정미소, 23년 햅쌀, 6/25 주문, 도정일자 1주 이내, 2kg 쯤) + 백옥찰(노은정미소, 24년 햅쌀, 11/22 주문, 도정일자 1주 이내, 나머지)누룩: 송학곡자(우리밀)과 진주곡자(앉은키밀) 각1kg 씩 섞어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2aS/btsLLABUxgk/Cyvle9Ub0YWxwVQKdCtcD0/img.gif)
개요주방문[6/08.토] 술덧(고두밥) = 찹쌀(8kg) + 물(7L) + 누룩(1kg)[6/22.토, +2주] 술 거름재료의 무게 비율 = 쌀:물:누룩 = 8:7:1 = 100:75:12.5 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5월 1일 구매)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4월 27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물 (스파클 생수) 실험 포인트지난 23번 술에서 찹쌀:물:누룩:밀가루=7.5:6.5:1:0.3kg의 비율로 꾹꾹이 생략하고 보쌈해서 빚었다. (찹쌀:물:누룩:밀가루=100:86.67:13.3:0.04)거른 술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조금은 불쾌한 쓴맛이 조금 남았었는데, 이번엔 꾹꾹이와 보쌈을 모두 해본다.이번에는 찹쌀:물:누룩=8:7:1kg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wEPs/btsLLPMggOi/Nsckc8gEjAWnWyDwHhqWkk/img.gif)
개요주방문[4/27.토] 술덧(고두밥) = 찹쌀(7.5kg) + 물(6.5L) + 누룩(1kg) + 밀가루(300g)[6/6.목, +5주 5일] 술 거름 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2월 13일 구매)올 2월에 20kg 1포대 구매해서 12.5kg를 쓰고 실온에서 보관한 나머지 찹쌀은 무게 변동이 거의 없어 7.521kg였음.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3월 8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다음에 쓸 누룩(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음)을 발코니에서 법제 시작함.물 (스파클 생수)밀가루 (밀꽃이야기 토종 우리밀 통밀 160g + 백밀 140g) 실험 포인트지난 20번 술에서 찹쌀:물:누룩=7:6:1kg 비율의 단양주를 빚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rcWL/btsLK9dqVtl/fhARxxCirWQUNgKD9h9a5k/img.gif)
개요주방문[3/31.일] 술덧(고두밥) = 멥쌀(7kg) + 물(7L) + 누룩(1kg) + 밀가루(300g)[4/29.월 +4주 1일] 술 거름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2월 3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밀가루 (국내산 토종 앉은키밀, 2023년 햇밀)물 (스파클 생수) 실험 포인트누룩 무게 30%의 밀가루를 넣은 멥쌀 단양주를 빚어본다. 술 빚기2024.03.30.토 0시고두밥을 찌기 전날 밤 쌀 7kg를 씻어 불러둔다.2024.03.30.토 10시10시간 불린 쌀을 헹군 뒤 채반에 받쳐 물을 빼둔다.2024.03.30.토 11시(11:00) 고두밥 찔 물 5L를 끓이기 시작한다. 시루보를 물에 적신 뒤 꼭 짜서 탈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