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를 빚는 방법에 반드시 이래야만 한다는 정석은 없다 생각한다.문헌을 통해 전래된 주방문에는 재료의 양과 간략한 공정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긴 하지만, 그 간략한 문헌만으로는 그 술의 제조법을 완벽하게 복원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누군가 복원했다 주장한들 그게 제대로 복원된 술인지 어느 누구도 검증할 수 없다.비교할 그 문헌의 술 원본이 없기 때문이다. 술 빚는 방법을 전통주 교육기관을 통해 배우는 분들도 많은데, 전통주 교육기관 마다 다르게 가르치기도 한다 전해들었다.나처럼 교육기관을 통해 배우지 않은 채 가양주를 빚기 시작한 사람들이 더 많을 수도 있을테다. 내가 술 빚는 방식은 어느 특정 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받은 방식을 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여태 접한 다양한 자료들, 다른 술 빚는 분..
개요급수비율 100%의 단양주를 빚어본다.목표 이번엔 쌀:물=1:1의 단양주다.멥쌀:찹쌀=1:2, 쌀:누룩=10:1 이다.주방문 주방문[10/18.토] 술덧(고두밥) = 멥쌀(2kg) + 찹쌀(4kg) + 물(6L) + 누룩(600g)멥쌀:찹쌀:물:누룩 = 2:4:6:0.6kg = 33.3:66.7:100:10 (무게비율)급수비율은 100%, 누룩은 쌀 무게의 10%다.재료 설명 멥쌀: 저번 주에 새로 구매한 상등급 알찬미 올해 햅쌀이다.특징은 단백질 함량이 5.6%로 낮단다.구매한 가격은 20kg 1포대 69,300원, 배송료 6,000원 별도, 총 75,300원이다.아직 햅쌀 품종이 많지는 않아 선택의 폭이 좁은 상태라서 찹쌀 구매할 때 이용하는 단골 노은정미소에 햅쌀이 있길래 냉큼 구매했다.직전 3..
개요쌀:물=1:1의 멥쌀 단양주를 빚어보려 했는데, 1:1.33이 되었다.목표 이번엔 멥쌀:물:누룩:밀가루=100:100:10:5 무게 비율의 단양주 실험이었는데, 공정 설계를 잘 못 해서 부득이 멥쌀:물:누룩=100:133:10으로 수정했다.주방문 주방문[10/11.토] 술덧(고두밥) = 멥쌀(6kg) + 물(6L) + 누룩(600g) + 밀가루(300g)멥쌀:물:누룩:밀가루 = 6:6:0.6:0.3kg = 100:100:10:5 (무게비율)공정 설계를 잘 못 해서 원래 계획과 달리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 [10/11.토] 술덧(고두밥) = 멥쌀(6kg) + 물(8L) + 누룩(600g)멥쌀:물:누룩 = 6:8:0.6:0.3kg = 100:133:10 (무게비율)급수비율 130% 이상은 처음 빚어보는데..
개요 쌀:물=1:1의 멥쌀 이양주를 빚어본다.목표이번 술은 죽/고 멥쌀 이양주다.주방문은 멥쌀:물:누룩=100:100:10 비율이다. (단, 고두밥 탕혼에 쓴 물은 급수비율에 미포함)밑술의 죽은 멥쌀:물=1:5 비율의 통쌀죽으로 한다.덧술의 고두밥은 뜸들이기 전 팔팔 끓는 물을 고두밥 위에 부어 탕혼하여 뜸들인 후 방냉하여 쓴다.이 탕혼으로 인해 고두밥이 흡수한 물에 의해 실질 급수율은 증가할텐데, 이로 인한 급수비율은 주방문에 반영하지 않았다.즉, 실질 급수비율은 100%를 초과할 것이다.이렇게 실질급수비율이 100% 초과하도록 빚는 목적은 신맛을 좀 더 내고 싶기 때문이다.이번에 쓸 누룩은 올 봄에 구매 후 냉장보관하던 진주곡자(아리흑밀)를 술 빚기 전날 실온에 꺼내놓고 쓴다. (법제 하지 않음)덧술..
어제 날짜 기준으로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수집한 탁약주 목록을 공유한다.이 글에서 공유하는 자료의 모든 저작권은 [참조.1]의 공공데이터 포털의 정책을 준수한다.https://www.data.go.kr/ugs/selectPortalPolicyView.do 공공데이터 포털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atasewww.data.go.kr 내가 공유하는 데이터는 [참조.2]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이다.[참조.2] https://www.data.go.kr/data/15062098/openapi.do 식품의약품안전처_식품(첨가물)품목제조보고(원재료)식품의약품안전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