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목표 쌀:물:누룩=100:90:1 무게 비율의 단양주 실험이다.주방문 [1/11.토] 술덧(고두밥) = 찹쌀(6kg) + 물(5.4L) + 누룩(600kg) + 밀가루(180g)쌀:물:누룩:밀가루 = 6:5.4:0.6:0.18kg = 100:90:10:3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4년 12월 22일 주문, 1주 이내 도정), 발코니에서 보관누룩: 송학곡자(우리밀)와 진주곡자(앉은키밀) 각1kg 씩 섞어 30번 술 빚은 날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하여 사용. (6/25 구매)물: 스파클 생수(1.8L) + 삼다수 생수(3.6L)밀가루: 밀꽃이야기 앉은키밀구매처: https://smartstore.naver.com/ourmeal-farm/products/9679914660술독: 15L 페트병주..
개요 목표 멥쌀, 찹쌀 반반으로 단양주를 빚어본다.주발효 시 보쌈을 하며, 냉각 후 실온에서 후발효한다.후발효가 종료되면 바로 거른다.주방문 [01/01.수] 술(고두밥) = 멥쌀(3.468kg) + 찹쌀(3.468kg) + 물(6.242L) + 누룩(867g) + 밀가루(260g) + 송순(14g)[01/28.화] (+3주 6일 3시간) → 술 거름쌀:물:누룩:밀가루:송순 = 6.936:6.242:0.867:0.26:0.014kg = 100:90:12.5:3.8:0.2급수비율 90%, 쌀 대비 누룩 12.5%재료 설명멥쌀: 지인의 처가에서 보내온 품종 모르는 2023년산 쌀. 이젠 묵은 쌀이다. 페트병에 넣어뒀더니 플라스틱 냄새인지 산패된 지방의 냄새인지 잘 모르겠지만 그리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찹쌀..
가양주 입문자들이 주방문을 언급할 때 멥쌀, 건식 멥쌀가루, 습식 멥쌀가루를 구별하지 않은 채 계량하는 것을 종종 본다. 그럼, 왜 구별을 해야할까?이는 멥쌀, 건식 멥쌀가루, 습식 멥쌀가루가 갖고 있는 수분함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수확기 벼의 수분함량은 보통 22∼25%이다. 이처럼 높은 수분함량은 15%가 되도록 말려야 한다. 14% 이하가 되면 저장에는 좋으나 밥맛이 크게 떨어지고, 17% 이상으로 건조하면 도정효율이 높아지고 식미도 좋으나 변질되기 쉽다."출처: 농사로,https://www.nongsaro.go.kr/portal/bsFileDownload.do?ep=a5gb/CMEYLclIUPoWw9/DZpAzn2z8@sWTCNA5pR4wDUDKUkH@ZzpB00NRQyDDbW6r/BD1mimy..
묵은 멥쌀 소진용 삼양주를 빚는다.개요목표 묵은 멥쌀 소진 목적으로 올해 첫 멥쌀 삼양주를 빚어본다.멥쌀 고두밥은 탕혼하여 뜸들인 뒤 쓴다.4일 주기로 담금하여 삼양주를 빚어본다.주방문 [12/21.토] 밑술(통쌀죽) = 멥쌀(1kg) + 물(4L) + 누룩(1kg)[12/25.수] 1차덧술(고두밥) = 멥쌀(2kg) + 물(4L)[12/29.일] 2차덧술(고두밥) = 멥쌀(7kg) + 물(3L) + 송순(20g)쌀:물:누룩:송순 = 10:11:1:0.02kg = 100:110:10:0.2%재료 설명멥쌀: 지인의 처가에서 보내온 품종 모르는 2023년산 쌀. 이젠 묵은 쌀이다. 페트병에 넣어뒀더니 플라스틱 냄새인지 산패된 지방의 냄새인지 잘 모르겠지만 그리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누룩: 송학곡자(우리밀)..
https://anovaculinary.com/ko-kr/products/anova-precision-cooker Anova Precision® CookerAnova Precision® Cooker 를 사용하면 셰프가 아니어도 요리사처럼 요리할 수 있습니다. 앱의 단계별 레시피를 따라 버튼 하나만 누르면 완벽하게 요리된 식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anovaculinary.com 지난 주 목요일에 아노바 수비드 머신을 질렀다.몇 년 전 구매할까 하다 구매해봐야 뭐 얼마나 쓰겠나 싶어서 구매하진 않았었던 조리 도구인데, 이번에 구매했다.쓰고 싶은 용도가 새로 생겼기 때문이다. 본사 공홈에서 주는 쿠폰(HOLYDAY10) 적용해서 택포 115,600원에 구매했고, 아마존에는 신형만 팔던데 이건 구형이라 더 저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