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주방문[4/27.토] 술덧(고두밥) = 찹쌀(7.5kg) + 물(6.5L) + 누룩(1kg) + 밀가루(300g)[6/6.목, +5주 5일] 술 거름 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2월 13일 구매)올 2월에 20kg 1포대 구매해서 12.5kg를 쓰고 실온에서 보관한 나머지 찹쌀은 무게 변동이 거의 없어 7.521kg였음.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3월 8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다음에 쓸 누룩(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음)을 발코니에서 법제 시작함.물 (스파클 생수)밀가루 (밀꽃이야기 토종 우리밀 통밀 160g + 백밀 140g) 실험 포인트지난 20번 술에서 찹쌀:물:누룩=7:6:1kg 비율의 단양주를 빚었..
지인으로부터 위스키는 어떤 효모를 쓰는지 좀 알아봐달라는 부탁을 받고 찾아봤다. 증류를 해본 적도 없고, 공부해본 적도 없지만 검색해보니 이런 정보가 나온다. The most common strain of yeast that was used in Scotch fermentation up until 2003 was DCL M-strain. This was created by Diageo between the 1930s and 50s and was popular because of its ability to break down sugars and make alcohol and because it produced many of the flavours associated with Whisky. Today the..
개요주방문[3/31.일] 술덧(고두밥) = 멥쌀(7kg) + 물(7L) + 누룩(1kg) + 밀가루(300g)[4/29.월 +4주 1일] 술 거름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2월 3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밀가루 (국내산 토종 앉은키밀, 2023년 햇밀)물 (스파클 생수) 실험 포인트누룩 무게 30%의 밀가루를 넣은 멥쌀 단양주를 빚어본다. 술 빚기2024.03.30.토 0시고두밥을 찌기 전날 밤 쌀 7kg를 씻어 불러둔다.2024.03.30.토 10시10시간 불린 쌀을 헹군 뒤 채반에 받쳐 물을 빼둔다.2024.03.30.토 11시(11:00) 고두밥 찔 물 5L를 끓이기 시작한다. 시루보를 물에 적신 뒤 꼭 짜서 탈탈..
내가 집에서 사용할 술 보관용 냉장고라면 어떤 조건들이 필요할지 중요한 우선순위대로 나의 요구사항을 나열해봤다. 1. 소음과 진동집안에서 냉장고 소음과 진동이 거슬릴정도라면 그런 냉장고는 들여놓지 않는 것이 낫다. 2. 냉매요즘 가정용 냉장고들은 대개 R600a(Isobutane)를 쓰더라.이 냉매가 지구 온난화에도 영향을 주지 않고, 컴프레셔의 소음도 더 적고, 성능도 더 좋다더라.단, 단점은 가연성이라서 만약 누출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정도 뿐이란다. (구글링해보면 나옴)그래서 R600a 냉매를 쓰는 제품이면 좋겠다. 3. 간접냉각방식직접냉각방식은 성에가 끼는 문제가 있고, 성에는 주기적으로 제거해줘야 한다.성에방지 기능이 있는 직접냉각방식이 있기도 하더라.하지만, 문을 열고 닫고 할 때 마다 빨리 ..
술 빚는 공정에 대해 설명할 때 '실온에서 발효시킨다' 또는 '상온에서 발효시킨다' 등의 표현을 많이들 쓴다. 그래서 실온과 상온은 각각 몇 ℃ 라는 걸까? 술도 식품이기 때문에 식품공전을 참고할 수 있다. 식품공전은 실온과 상온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표준온도는 20°C, 상온은 15∼25°C, 실온은 1∼35°C, 미온은 30∼40°C로 한다. 출처: https://various.foodsafetykorea.go.kr/fsd/#/ext/Document/FC?searchNm=실온&itemCode=FC0A002001002A011 즉, 상온의 범위는 15~25℃이고, 실온은 그 보다 넓은 1~35℃다. 그러니 "밑술을 실온에서 사흘간 발효시면 발효가 끝난다."라고 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거짓말이 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