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량을 달리한 전통 청주의 발효 및 숙성 특성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찾아서 읽어보고 내 나름대로 요약했다. 논문 출처: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504641500359.page?&lang=ko 가수량을 달리한 전통 청주의 발효 및 숙성 특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Ko초록 본 연구는 가수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전통방식의 청주의 발효 및 숙성 특성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실험방법으로는 발효 술덧은 3단 담금 하였고 3단 담금시 물을 넣지 않은 청주(A), 1L의koreascience.or.kr 청주(약주) 제조 및 숙성 이 논문은 마지막 덧술에서 넣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하여 빚은 3가지 삼양주를 거른 뒤 냉장숙성하여 비교실험한 논문이다. ..
술을 빚을 때 쌀 대비 물을 얼마나 넣는지를 급수비율이라 한다.급수비율을 정확하게 정의한 자료를 찾아보기 위해 탁약주개론을 살펴보니 136쪽에서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다. 즉, 술을 빚을 때 사용한 급수총량을 담금 총원료량으로 나누면 된다.계산을 위한 급수총량과 담금 총원료량은 아래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이 때 사용한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탁주 제조방법 신청서'의 원료 명세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이 술의 경우에는 쌀을 입국으로 총 25kg, 고두밥으로 총 75kg를 써서 담금 총원료량은 100kg이며, 급수량은 총 160L다.그래서 급수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급수비율 = 급수총량 / 담금_총원료량 * 100 = 160L / 100kg * 100 = 160% 그런데, 이 자료에서..
한여름에 빚어보는 단양주 + 송순 개요 목표 술 빚을 때 부재료를 처음으로 써보는 술이다. 부재료는 송순이다.주발효 시 보쌈을 하며, 냉각 후 한여름의 실온에서 후발효한다.후발효가 종료되면 바로 거른다.주방문 [8/15.목] 술(고두밥) = 찹쌀(8kg) + 물(6L) + 누룩(1kg) + 밀가루(300g) + 송순(10g)[9/1.일, +2주 2일] 술 거름쌀:물:누룩:밀가루:송순 = 8:6:1:0.3:0.01 = 100:75:12.5:3.75:0.125재료 설명찹쌀: 백옥찰(노은정미소, 23년 햅쌀, 6/25 주문, 도정일자 1주 이내)누룩: 송학곡자(우리밀)과 진주곡자(앉은키밀) 각1kg 씩 섞어서 사용. 8월 4일부터 발코니에서 법제한 누룩에 물 2L를 섞어 수곡으로 씀. 여름이다보니 좀 습해서 ..
한여름에 빚어보는 이양주.개요주방문[8/4.일] 밑술(통쌀죽) = 멥쌀(1kg) + 물(4L) + 누룩(1kg)[8/11.일, 밑술 +약1주] 덧술(고두밥) = 멥쌀(2kg) + 찹쌀(7kg) + 물(2L)[8/13.화, 덧술 +35시간반] 후수 = (2L)[8/18.일, 덧술 +약1주] 후수 = (1L)[9/15.일, 덧술 + 5주) → 발효 완료.[11/23.토, 덧술 + 14주 6일) → 술 거름재료의 무게 비율 = 쌀:물:누룩 = 10:9:1 = 100:90:10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5월 1일 구매 & 6월 25일 구매를 섞어 씀)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총 2kg를 4월 28일..
현행법령에서 정하는 ‘전통주’는 ‘주세법제2조8항’에서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요약함)가. 주류부문의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및 시ㆍ도무형유산 보유자가 제조하는 주류나. 주류부문의 대한민국식품명인이 제조하는 주류다. 농업경영체 및 생산자단체와 어업경영체 및 생산자단체가 직접 생산하거나 주류제조장 소재지의 자치구 인접 자치구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하는 주류로서 자치단체장의 추천을 받아 제조하는 주류위 다목에서 정하는 술은 ‘주세사무처리규정제2조19항’에서 정하는 ‘지역특산주’와 같다.그 외에 ‘민속주’는 ‘주세사무처리규정제2조18항’에서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요약함)가. 주류부문의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및 시ㆍ도무형유산 보유자가 제조하는 주류나. 주류부문의 대한민국식품명인이 제조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