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t2R9/btsFNm2El8l/3KhIWOyNJfVWD1wXgb562k/img.gif)
출처: http://www.suldoc.com/?error_return_url=%2Fboard_faq&act=&vid=&mid=board_faq&category=&search_keyword=미생물&search_target=title 자주하는 질문 1 술빚기 팁 미생물 굶겨 술빚기 뭔 뜬금없이 미생물을 굶기냐? ^^ 언제는 굶으면 죽으니까. 빨리 밥 주라며...밥 잘 안 먹는 아이들 좀 굶기면 달려 들어 먹습니다. 이런 말 하면 죄송하지만 www.suldoc.com 위 출처에서 갈무리한 내용: 뭔 뜬금없이 미생물을 굶기냐? ^^ 언제는 굶으면 죽으니까. 빨리 밥 주라며... 밥 잘 안 먹는 아이들 좀 굶기면 달려 들어 먹습니다. 이런 말 하면 죄송하지만 오랫동안 먹지 못한 사람들은 먹을 것 보면 환장하며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sBkT4/btsFIla8dmy/tb9nt70JBYsxDAX94kkBE0/img.png)
전통주 공부를 하면서 가장 먼저 구매한 책이 '한국 전통주 교과서 (2판)'이다. [참고.1]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609432 한국 전통주 교과서 | 류인수 - 교보문고 한국 전통주 교과서 | 많은 사람들이 ‘술 빚을 때 참고할 만한 책을 추천해 달라’고 질문하는데 딱히 그럴 만한 책이 없어 그때마다 매우 아쉬웠다. 전통주 관련 책들이 대부분 옛 문헌을 번역 product.kyobobook.co.kr 이제 막 전통주에 입문하려는 사람에게 기초 개념을 잡을 때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이 책의 표지에 "쌀된 되로 물도 돼야"라는 문구가 있다. 그리고, 책 p54 하단에서 "쌀과 물의 부피를 같은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비율을 같게"라고 설명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71qH/btsHTARxmUn/NmP1yGvzmQ0PQkiPRx6oKK/img.gif)
개요주방문[3/02.토] 밑술(통쌀죽) = 멥쌀(2kg) + 물(10L) + 누룩(1kg)[3/09.토] 덧술(고두밥) = 찹쌀(10kg)[3/16.토] 후수 = 물(2L)[6/8.토, 덧술 +13주] 술 거름 (후수 + 12주)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2월 13일 구매)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2월 3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물 (스파클 생수) 공정 설계멥쌀:찹쌀:물:누룩=2:10:12:1 비율로 이양주를 빚어본다.즉, 쌀:물:누룩=100:100:8.3 비율이다.멥쌀 불릴 때 추가된 물, 찹쌀 불려 고두밥을 찔 때 추가된 물은 비율 계산에서 제외했다.쌀은 어차피 불려서 써야하고, 쌀을 충..
숨쉬는 옹기 항아리에서 술을 빚으면 술의 맛과 향이 더 좋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옹기 항아리가 가지는 미세 공극을 통해 약간의 통기성이 제공된다는 것 까지는 알겠다. 옹기 항아리의 단열 및 차광 효과가 가지는 장점과 항아리의 형상에 의해 윗막지가 잘 가라앉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는 것은 납득할 수 있는 주장이지만, 그 외 다른 장점은 나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옹기 항아리의 미세 공극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술의 맛과 향이 변할 수도 있을테다. 그러면, 옹기 항아리가 아닌 다른 술독에서도 옹기 항아리의 통기량 수준으로 공기가 살짝 통하게 하면 그 땐 옹기 항아리와 다른 술독과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술독의 형상도 옹기항아리처럼 배불뚝이 형상으로도 만들면 그 차이는 더 줄어들테다. 나는 그저 납득..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BXxv/btsLMYBv6O9/cr5S8V1JosuG4fIJAKtxQk/img.gif)
개요목표이번 술은 쌀:물:누룩=7:6:1 비율의 단양주다.다음은 이번 단양주의 실험 포인트다.꾹꾹이를 한다.보쌈이나 냉각 등의 온도관리를 전혀 하지 않은 채 실온(대체로 21~23℃)에서 발효시킨다.품온이 꺾이면서 주발효가 끝났다 판단되면 술덧 상황을 봐서 면포를 제거하고 뚜껑을 닫는다.술을 안친 후 술덧은 저어주지 않는다. 단, 술덧의 표면이 마르기 시작하면 그 땐 그 부분만 살짝 뒤적여준다. 주방문[2/17.토] 술덧(고두밥) = 찹쌀(7kg) + 물(6L) + 누룩 (1kg)[3/30.토, +6주] 술 거름 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2월 13일 구매). 이 중에서 4.5kg는 지난 번 19번 술 빚을 때 쓰고 남은 것이고, 나머지 2.5kg는 이번 주에 새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