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qrRb1bUKLw내가 이 글을 작성했을 땐 이 영상이 공개 영상이었는데, 언젠가부터 멤버쉽 영상으로 변경되어 이 설명을 보는 사람은 멤버쉽 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이제 볼 수 없음. 요약하면 이렇다. 단, 내가 영상을 보고 요약한 것이니 잘 못 이해하고 요약했을 수도 있으므로 직접 영상을 보기 바란다. 참고로, 난 고교 시절에 과학 과목들 중 생물을 가장 싫어했었다. 해당은 포도당(C₆H₁₂O₆)을 2피루브산(2C₃H₄O₃)으로 분해하는 과정이다. 이 때 2ATP를 쓰고 4ATP를 얻기 때문에 2ATP를 얻게 되며, 산소가 있던 없던 무관하다. 단, 포도당이 해당되어 피루브산으로 바뀌었을 때 피루브산이 세포 내부의 미토콘드리아에..
내가 누룩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사람은 아니지만, 지난 1년여 동안 가양주를 빚으면서 공부한 내용을 토대로 산국(흩임누룩)과 입국의 차이를 내 나름대로 정리했다. 내가 정리한 내용에 대해 내가 틀렸다는 반론을 제기할 사람이 있다면, 그 정보의 객관적인 출처와 함께 의견을 댓글에 남겨주기 바란다. 내가 잘못 알고 있는 내용을 반론으로 바로 잡을 수 있다면, 난 오히려 그 의견이 고맙다. 누룩은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한중일 동북아권에서 곡물로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발효제이고, 중국에서 한국으로, 한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룩을 그 형태로 구분할 때는 메주나 빈대떡 처럼 덩어리 형태로 가공하여 디디는 누룩은 병국(떡누룩), 곡물을 낱알 그대로 디디는 누룩은 산국(흩임누룩)이라 한다. 즉..
'당화력'이라는 단위는 그냥 글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당화시키는 능력일테다.전분가수분해효소가 전분을 당분으로 바꾸는 것을 '전분가수분해'라 하며, 이를 '당화'라 하기도 한다.좀 더 들어가면, 전분가수분해효소는 '액화'와 '당화'를 모두 수행한다.가양주를 시작하면서 공부를 시작했을 때 당화력은 식품첨가물공전에서 곡자(전통누룩)의 경우 300SP 이상으로 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그런데, 이 단위는 어떻게 측정하는 것인지 궁금해서 이번에는 좀 더 자세하게 읽어봤다. 출처: https://various.foodsafetykorea.go.kr/fsd/#/ext/Document/FA?searchNm=국&itemCode=FA0A024003004A055당화력의 정의 : 1 Saccharogenic power(..
지난 6월에 제가 빚은 13번 술을 걸렀을 때 '달달하고 따뜻한 향'을 느꼈지만, 그 향의 정체가 무엇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하지만, 지난 주말에 모임을 가졌을 때 한 분께서 그 향이 '카카오닙스' 향이라고 짚어주시더라. 그러고보니 내가 여태 카카오닙스를 먹어 본 적이 없네. ㅡ.ㅡ;여태 경험해보지 못한 향 이었기에 그 향을 무슨 향이라 불러야하는지를 몰랐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던 것 같다.술에서 나는 향을 맡을 수 있어야 하고, 그 향이 무슨 향인지 판단할 수 있으려면 특정 향에 대한 기억을 플레이버 키트 등의 도구를 이용해서 향에 대한 훈련을 해야 하나보다 싶다. 테이스팅 시트는 KISA에서 배포하고 있는 자료가 있더라. http://www.winekisa.com/front/informatio..
술을 빚을 땐 어떤 품종의 쌀이 좋을까? 결론은 나도 경험이 짧아 알지 못한다. 그런데, 저 아밀로스 멥쌀에 대한 자료가 있어 퍼왔다. 출처: https://plan.danawa.com/info/index.php?nPlanSeq=4574 쌀 품종에 대해 알아보자 : 다나와 쇼핑기획전 다나와만이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담은 쇼핑기획전 입니다. 한눈에 비교하고 저렴하게 구매하세요. plan.danawa.com 상기 다나와의 자료에 의하면, 단백질과 아밀로스 함량이 낮은 저 아밀로즈 멥쌀을 분류해놨다. 즉, '저 아미로스' 멥쌀은 멥쌀과 찹쌀의 중간쯤인 '반찰'이라 보면 된다. 이 중에서도 아밀로스 함량이 더 적은 백진주는 반찰 중에서도 찹쌀에 가깝고, 밀키퀸은 반찰 중에서도 멥쌀에 가깝다고 보면 되겠다.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