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끝난 후에 빚으려던 삼양주였는데, 정작 장마 끝나고 나서는 이양주와 단양주를 먼저 빚었다.뒤늦게 죽고고/멥멥찹 삼양주를 빚는다. 개요 주방문 [8/24.토] 밑술(통쌀죽) = 멥쌀(1,111g) + 물(4,444g) + 누룩(1,000g)[8/31.토, 1주 간격] 1차덧술(고두밥) = 멥쌀(2,222g) + 물(2,222g)[9/07.토, 1주 간격] 2차덧술(고두밥) = 찹쌀(6,667g) + 물(3,334g) + 밀가루(300g)재료의 총 무게 비율 = 쌀:물:누룩:밀가루 = 10:10:1:0.3=100:100:10:3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찹쌀 (백옥찰 2023년 햅쌀, 노은정미소, 6/25 구매)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을 각 1kg씩 섞어 ..
"가수량을 달리한 전통 청주의 발효 및 숙성 특성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찾아서 읽어보고 내 나름대로 요약했다. 논문 출처: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504641500359.page?&lang=ko 가수량을 달리한 전통 청주의 발효 및 숙성 특성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Ko초록 본 연구는 가수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전통방식의 청주의 발효 및 숙성 특성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실험방법으로는 발효 술덧은 3단 담금 하였고 3단 담금시 물을 넣지 않은 청주(A), 1L의koreascience.or.kr 청주(약주) 제조 및 숙성 이 논문은 마지막 덧술에서 넣는 물의 양을 다르게 하여 빚은 3가지 삼양주를 거른 뒤 냉장숙성하여 비교실험한 논문이다. ..
술을 빚을 때 쌀 대비 물을 얼마나 넣는지를 급수비율이라 한다.정확하게 정의한 자료를 찾아보기 위해 탁약주개론을 살펴보니 136쪽에서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다. 즉, 술을 빚을 때 사용한 급수총량을 담금 총원료량으로 나누면 된다.계산을 위한 급수총량과 담금 총원료량은 아래 자료를 참고하면 된다. 이 때 사용한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탁주 제조방법 신청서'의 원료 명세를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다.이 술의 경우에는 쌀을 입국으로 총 25kg, 고두밥으로 총 75kg를 써서 담금 총원료량은 100kg이며, 급수량은 총 160L다.그래서 급수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급수비율 = 급수총량 / 담금_총원료량 * 100 = 160L / 100kg * 100 = 160% 그런데, 이 자료에서 누락된 설..
한여름에 빚어보는 단양주 + 송순 개요 목표 술 빚을 때 부재료를 처음으로 써보는 술이다. 부재료는 송순이다.주발효 시 보쌈을 하며, 냉각 후 한여름의 실온에서 후발효한다.후발효가 종료되면 바로 거른다.주방문 [8/15.목] 술(고두밥) = 찹쌀(8kg) + 물(6L) + 누룩(1kg) + 밀가루(300g) + 송순(10g)[9/1.일, +2주 2일] 술 거름, 쌀:물:누룩:밀가루 = 8:6:1:0.3 = 100:75:12.5:3.75재료 설명찹쌀: 백옥찰(노은정미소, 23년 햅쌀, 6/25 주문, 도정일자 1주 이내)누룩: 송학곡자(우리밀)과 진주곡자(앉은키밀) 각1kg 씩 섞어서 사용. 8월 4일부터 배란다에서 법제한 누룩에 물 2L를 섞어 수곡으로 씀. 여름이다보니 좀 습해서 그런지 퀴퀴한 누룩 냄..
한여름에 빚어보는 이양주.개요주방문[8/4.일] 밑술(통쌀죽) = 멥쌀(1kg) + 물(4L) + 누룩(1kg)[8/11.일, 밑술 +약1주] 덧술(고두밥) = 멥쌀(2kg) + 찹쌀(7kg) + 물(2L)[8/13.화, 덧술 +35시간반] 후수 = (2L)[8/18.일, 덧술 +약1주] 후수 = (1L)[9/15.일, 덧술 + 5주) → 발효 완료.재료의 무게 비율 = 쌀:물:누룩 = 10:9:1 = 100:90:10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5월 1일 구매 & 6월 25일 구매를 섞어 씀)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총 2kg를 4월 28일 부터 배란다에서 법제)물 (스파클 생수) 실험 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