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주방문[3/02.토] 밑술(통쌀죽) = 멥쌀(2kg) + 물(10L) + 누룩(1kg)[3/09.토] 덧술(고두밥) = 찹쌀(10kg)[3/16.토] 후수 = 물(2L)[6/8.토, 덧술 +13주] 술 거름 (후수 + 12주) 재료 설명멥쌀 (나주쌀 2023년 햅쌀, 품종 모름)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2월 13일 구매)누룩 (송학곡자 국내산, 진주곡자 앉은뱅이밀 1kg씩 섞어 2월 3일 부터 발코니에서 법제)물 (스파클 생수) 공정 설계멥쌀:찹쌀:물:누룩=2:10:12:1 비율로 이양주를 빚어본다.즉, 쌀:물:누룩=100:100:8.3 비율이다.멥쌀 불릴 때 추가된 물, 찹쌀 불려 고두밥을 찔 때 추가된 물은 비율 계산에서 제외했다.쌀은 어차피 불려서 써야하고, 쌀을 충..

개요목표이번 술은 쌀:물:누룩=7:6:1 비율의 단양주다.다음은 이번 단양주의 실험 포인트다.꾹꾹이를 한다.보쌈이나 냉각 등의 온도관리를 전혀 하지 않은 채 실온(대체로 21~23℃)에서 발효시킨다.품온이 꺾이면서 주발효가 끝났다 판단되면 술덧 상황을 봐서 면포를 제거하고 뚜껑을 닫는다.술을 안친 후 술덧은 저어주지 않는다. 단, 술덧의 표면이 마르기 시작하면 그 땐 그 부분만 살짝 뒤적여준다. 주방문[2/17.토] 술덧(고두밥) = 찹쌀(7kg) + 물(6L) + 누룩 (1kg)[3/30.토, +6주] 술 거름 재료 설명찹쌀 (노은정미소 백옥찰 2023년 햅쌀, 2024년 2월 13일 구매). 이 중에서 4.5kg는 지난 번 19번 술 빚을 때 쓰고 남은 것이고, 나머지 2.5kg는 이번 주에 새로 구..

개요목표이번 술의 컨셉은 편하게 빚을 수 있는 단양주다.내가 직접 짠 주방문이 아니라 술만사 그니님께서 알려주신 주방문이다. (아래 링크의 댓글 참고)https://cafe.naver.com/homebrewing/25467찹쌀:물:누룩=7:4:1kg로 급수비율 57.14%의 주방문이다.이 술을 먹어봤는데, 과하게 달지도 않고 밸런스도 괜찮았다. 주방문[1/06.토] 찹쌀(7kg, 고두밥), 물(4L), 누룩(1kg, 수곡)[2/24.토, +7주] 술 거름 재료찹쌀: 백옥찰(노은정미소, 23년 햅쌀, 11/12 주문, 도정일자 1주 이내)누룩: 송학곡자(국내산)와 진주곡자(앉은뱅이밀/국내산)를 반반 섞어 10월말부터 발코니에서 법제하여 수곡으로 사용.물: 스파클 생수 (미개봉 생수를 끓이지 않은 채 그대로..

개요석탄주를 빚고자 했으나, 고두밥용 쌀을 불리는 날 음주 후 쌀을 씻으면서 찹쌀의 양을 원 주방문의 10kg보다 적은 8kg를 쓴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그래서 이번 술은 석탄주가 아닌 이양주가 되었다. 2023.12.13.에서야 뒤늦게 알아챘고, 뒤늦게 이번 술은 석탄주가 아닌 이양주로 강제 변경되었다.어쩐지 이상하게 예상했던 것과 달리 고두밥 대비 물이 많더라. ㅡ.ㅡ;아래 양주일기도 이에 맞게 모두 수정함. (수정일자: 2023.12.13.)목표이번 술은 술만사 냉이향님이 같이 빚어보자고 제안한 석탄주를 빚고자 했으나 쌀 계량을 실수해서 이양주가 되었다!원문 출처: https://cafe.naver.com/homebrewing/24944 (카페 가입 해야 볼 수 있음. 가입 후 새싹회원에서 일반회원..

이 양주 일기는 검증된 공정이 아니며, 초보 가양주인의 실험일 뿐이다. 백진주쌀은 아밀로스 함량이 9.1%로 낮은 저 아밀로스 쌀 품종 중 하나다.과연 백진주쌀로 술을 빚으면 멥쌀과 찹쌀의 중간쯤의 특성을 가질지 궁금해서 구매해봤다.관련 글: https://dspman.tistory.com/218 저 아밀로스 쌀국내에서 유통되는 찹쌀은 아밀로스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고, 세계적으로도 아밀로스 함량이 5% 이내이면 찹쌀로 분류한단다. 반대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멥쌀은 아밀로스가 20% 가까이dspman.tistory.com 공정 설계이 술의 실험 포인트아밀로스 함량 9.1%인 백진주쌀 100%로 술을 빚었을 때 과연 찹쌀과 멥쌀의 중간 수준의 발효 양상을 보일까?쌀:물=1:5, 밑술:덧술=1:5 비율..